어제 저녁 오랫만에 부족했던 잠들을 채우고
담배를 한대 피우며 간만에 맑은 정신으로(?) 생각을 해봤다.
과연 이렇게 밤을 새우며 일하는 것이 당연한 것인가?
그건 아니다.
우리는 일상을 위해 일하지 일을 하기 위해 일상을 보내진 않는다.
이것이 지극히 상식이다.
왜 이 상식을 지키지 못하는가?
생존이라는 또다른 상식이 개입되기 때문이다.
우리가 일상을 손해보면서 밤을 새며, 주말도 없이 일을 하는 것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것이다.
지금은 분명 생존이 어려운 시기이다.
경기가 좋아진다고 연일 언론에서 떠들지만,
한꺼풀 까고 보면 분바른 추녀의 모습이다.
환율의 혜택과 경기 부양책에 따른 일부 산업의 일시적인 호황이
전체 숫자에 반영되어 착시를 일으키고 있다고 본다.
또한 조삼모사 조사모삼이 반영되어
경기가 좋아진 것이 아니라 뒤의 것을 앞에 당겨 쓴 경향이 있다.
오늘 아침 중앙일보 경제면에 "히든 챔피언"의 저자 인터뷰를 보면
동일한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태를 살펴보면, 큰 흐름에서의 경기는 아직 네거티브상태이며
이는 치열한 생존 경쟁의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시장에서 보고 느끼는 현상을 하나 예로 보면,
기초 체력이 약한 업체들이 제 살 베어먹기 식으로 저가 입찰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는 일명 치킨게임을 벌이는 것으로,
체력이 약한 업체들이 문을 닫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될 것이다.
결국 하도 업체 즉, 2,3차 업체들이 가장 먼저 체력 검증을 받게 될 것이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낮은 원가를 버틸 수 있고 비축된 체력이 강한 업체만이 살아 남게 될 것이다.
2,3차 업체들의 부도와 폐업을 거치고 1차 업체들이 그 여파를 받게 되면
결국 시장의 안정화에 접어들게 될 것이다.
낮은 원가를 버틸 수 있는 방법은
효과가 즉시적인 저가 임금으로 버티던가,
효과는 더디지만 근본적인 방법인 업무 공정 개선으로 버티는 것이다.
체력이 강한 회사는
유보된 이익이 많고
시장에 깔린 인지도가 높으며
기본 영업력이 강하게 깔려 있어야 한다.
이것이 생존의 법칙이며,
이 생존이라는 factor가 개입되기 때문에
아주 상식적인 근무 환경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생명체는 근본적으로 개인적이다.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을 중시한다.
그래서 가끔은 최대 이익을 획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게임의 법칙에서 "죄수의 딜레마"를 보아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다.
가까이서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는 것은 자동차 끼어들기이다.
정체가 심한 교차로에서는 파란불에서도 내가 교차로를 벗어날 수 없다면 진입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러한 상식이 교차로에 있는 모든 운전자에게 인식되면
다음 파란불에서 진입을 방해하는 차량이 없기 때문에
내 차량이 교차로를 통화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면, 지금 교차로를 진입하면 빨간불일지라도 다음 파란불 이전에 교차로를 벗어날 수도 있다.
하지만, 교차로에 대기하고 있는 다른 차량들은 그만큼 손해를 보게 되고,
이것이 손해를 본다는 인식으로 확산되면
교차로에 모든 차량이 진입하면서 어떠한 차량도 앞으로 갈 수 없는 교착상태에 빠진다.
결국 전체를 손해보게 할 뿐 아니라
본인도 더 나은 이득을 획득한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인식이 확산되어 사회 보편화 되면
상호신뢰를 잃어버리기 때문에
자신이 다음에 교차로에서 교착상태에 빠지는 것이 일반화된다는 것이다.
즉, 개인의 이득을 최대화하기 위한 노력이 꼭 개인의 이득과 전체의 이득을 최대화 하진 않는다는 것이며,
이것은 장기적으로 볼 때 개인과 전체의 이득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현재 근무 강도가 높다는 것은 맞다.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맞지 않다.
적어도 우리 모두가 고생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하지만, 환경이 지극히 상식적이지 못하다는 것도 맞다.
일시적으로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하지 못하더라도
실업이라는 위기를 함께 넘기고 전체과 개인의 이익을 강화하여야 한다.
우리가 가야 할 방향은 생존하기 위해 변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인과 전체의 이득을 장기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다.
담배를 한대 피우며 간만에 맑은 정신으로(?) 생각을 해봤다.
과연 이렇게 밤을 새우며 일하는 것이 당연한 것인가?
그건 아니다.
우리는 일상을 위해 일하지 일을 하기 위해 일상을 보내진 않는다.
이것이 지극히 상식이다.
왜 이 상식을 지키지 못하는가?
생존이라는 또다른 상식이 개입되기 때문이다.
우리가 일상을 손해보면서 밤을 새며, 주말도 없이 일을 하는 것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것이다.
지금은 분명 생존이 어려운 시기이다.
경기가 좋아진다고 연일 언론에서 떠들지만,
한꺼풀 까고 보면 분바른 추녀의 모습이다.
환율의 혜택과 경기 부양책에 따른 일부 산업의 일시적인 호황이
전체 숫자에 반영되어 착시를 일으키고 있다고 본다.
또한 조삼모사 조사모삼이 반영되어
경기가 좋아진 것이 아니라 뒤의 것을 앞에 당겨 쓴 경향이 있다.
오늘 아침 중앙일보 경제면에 "히든 챔피언"의 저자 인터뷰를 보면
동일한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태를 살펴보면, 큰 흐름에서의 경기는 아직 네거티브상태이며
이는 치열한 생존 경쟁의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시장에서 보고 느끼는 현상을 하나 예로 보면,
기초 체력이 약한 업체들이 제 살 베어먹기 식으로 저가 입찰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는 일명 치킨게임을 벌이는 것으로,
체력이 약한 업체들이 문을 닫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될 것이다.
결국 하도 업체 즉, 2,3차 업체들이 가장 먼저 체력 검증을 받게 될 것이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낮은 원가를 버틸 수 있고 비축된 체력이 강한 업체만이 살아 남게 될 것이다.
2,3차 업체들의 부도와 폐업을 거치고 1차 업체들이 그 여파를 받게 되면
결국 시장의 안정화에 접어들게 될 것이다.
낮은 원가를 버틸 수 있는 방법은
효과가 즉시적인 저가 임금으로 버티던가,
효과는 더디지만 근본적인 방법인 업무 공정 개선으로 버티는 것이다.
체력이 강한 회사는
유보된 이익이 많고
시장에 깔린 인지도가 높으며
기본 영업력이 강하게 깔려 있어야 한다.
이것이 생존의 법칙이며,
이 생존이라는 factor가 개입되기 때문에
아주 상식적인 근무 환경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생명체는 근본적으로 개인적이다.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을 중시한다.
그래서 가끔은 최대 이익을 획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게임의 법칙에서 "죄수의 딜레마"를 보아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다.
가까이서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는 것은 자동차 끼어들기이다.
정체가 심한 교차로에서는 파란불에서도 내가 교차로를 벗어날 수 없다면 진입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러한 상식이 교차로에 있는 모든 운전자에게 인식되면
다음 파란불에서 진입을 방해하는 차량이 없기 때문에
내 차량이 교차로를 통화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면, 지금 교차로를 진입하면 빨간불일지라도 다음 파란불 이전에 교차로를 벗어날 수도 있다.
하지만, 교차로에 대기하고 있는 다른 차량들은 그만큼 손해를 보게 되고,
이것이 손해를 본다는 인식으로 확산되면
교차로에 모든 차량이 진입하면서 어떠한 차량도 앞으로 갈 수 없는 교착상태에 빠진다.
결국 전체를 손해보게 할 뿐 아니라
본인도 더 나은 이득을 획득한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인식이 확산되어 사회 보편화 되면
상호신뢰를 잃어버리기 때문에
자신이 다음에 교차로에서 교착상태에 빠지는 것이 일반화된다는 것이다.
즉, 개인의 이득을 최대화하기 위한 노력이 꼭 개인의 이득과 전체의 이득을 최대화 하진 않는다는 것이며,
이것은 장기적으로 볼 때 개인과 전체의 이득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현재 근무 강도가 높다는 것은 맞다.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맞지 않다.
적어도 우리 모두가 고생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하지만, 환경이 지극히 상식적이지 못하다는 것도 맞다.
일시적으로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하지 못하더라도
실업이라는 위기를 함께 넘기고 전체과 개인의 이익을 강화하여야 한다.
우리가 가야 할 방향은 생존하기 위해 변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인과 전체의 이득을 장기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다.